주니입니다.
몇 일전에 이이서.... 기어비를 가지고... 좀 더 장난을 쳐 보면...
보통 27단 기준으로 기어는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느낌에 따라서 변속을 하는 편입니다. 그러다가 보면 급한 경우,
피해야 한다는 1-7,8,9 혹은 3-1,2,3의 기어비도 쓰게 되죠. ㅎㅎ
순전히 느낌에 의존해서 바꾸다 보면 그렇습니다. 그리고 보통 2-3,4,5,6,7을 쓰고,
업힐에서는 1-1,2를 쓰고 고속에서는 3-6,7,8,9를 쓰는데, 사실 앞쪽 3단은
긴 내리막길을 제외하고는 거의 쓰는 일이 없습니다.
최근 제가 구입한 저가형? 미니벨로는 앞은 싱글이고 뒤가 6단입니다.
ㅎㅎ, 앞쪽 변속레버도 없을 뿐더라, 뒤만 변속하면 되니, 다양한 기어비를
얻지는 못하더라도, 사실 신경쓰지 않아도 되니, 좋긴하네요. ㅎㅎ
암튼...
몇 일전 계산했던 표를 기어비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RONT | REAR | 기어비 | 속도(km/h) | ||
1 | 1 | 0.65 | 7.18 | ||
1 | 2 | 0.73 | 8.14 | ||
1 | 3 | 0.85 | 9.39 | ||
2 | 1 | 0.94 | 10.44 | ||
1 | 4 | 0.96 | 10.61 | ||
2 | 2 | 1.07 | 11.84 | ||
1 | 5 | 1.10 | 12.21 | ||
2 | 3 | 1.23 | 13.66 | ||
3 | 1 | 1.29 | 14.36 | ||
1 | 6 | 1.29 | 14.36 | ||
2 | 4 | 1.39 | 15.44 | ||
3 | 2 | 1.47 | 16.28 | ||
1 | 7 | 1.47 | 16.28 | ||
2 | 5 | 1.60 | 17.76 | ||
3 | 3 | 1.69 | 18.78 | ||
1 | 8 | 1.69 | 18.78 | ||
2 | 6 | 1.88 | 20.89 | ||
3 | 4 | 1.91 | 21.23 | ||
1 | 9 | 2.00 | 22.19 | ||
2 | 7 | 2.13 | 23.67 | ||
3 | 5 | 2.20 | 24.41 | ||
2 | 8 | 2.46 | 27.32 | ||
3 | 6 | 2.59 | 28.72 | ||
2 | 9 | 2.91 | 32.28 | ||
3 | 7 | 2.93 | 32.55 | ||
3 | 8 | 3.38 | 37.56 | ||
3 | 9 | 4.00 | 44.39 | ||
제일 낮은 기어비에서 부터 제일 높은 기어비 까지의 순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기준으로...
- 앞 체인링 (22,32,44T), 뒷 스프라킷(11-34T 9단)
- RPM은 90
- 휠 둘레는 CATEYE사의 속도계 메뉴얼에 있는 26X2.0 사이즈인 2055mm
보시면 1-1에서 최고 3-9까지의 중간에 기어비에 따른 순서가 쭉 나와 있습니다. ^^
보통 피해야 한다는 기어비를 제외하고는
1 - 1,2,3,4,5
2 - 3,4,5,6,7
3 - 5,6,7,8,9
을 분홍으로 표시하였습니다.
표시하고 보니 순서가 얼추 맞네요.
1-1에서 시작해서 순서적으로 뒤를 5단까지 변속을 하고
이후 2-3으로 변속후 2-7까지 변속을
그리고 다시 3-5에서 3-9까지 변속을 차례로 하면 되겠네요.
하지만 사실 위의15단계를 모두 변속에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겠죠? ^^
저는 보통 출퇴근시 평지 기준으로 출발은 2-3에서 출발하고 4, 5,6,7 정도까지
속도를 높이고 앞쪽 1이나 3단은 평지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본인이 접합한 기어비를 찾아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본인에게 적합한 기어비 찾기 -> http://blog.naver.com/jykim597/120038251111
<피해야 할 기어비>
사실 피해야 할 기어비는 딱히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기준은 체인라인이
많이 틀어질수록 좋지 않다는 것이죠. 체인이나 스프라켓 그리고 체인링의
마모도 심해지고, 구동계의 전반적인 수명도 조금은 짧아집니다.
예를 들어 3-1과 같은 기어비는 앞/뒤 모두 가장 큰 톱니 바퀴에 체인이
걸리니 뒷 드레일러도 쭉 늘어나고 소음도 심해지며 여러가지로 피하는 편이
바람직한 기어비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7과 같은 기어비는 실제로
라이딩에서는 사용하지는 않지만, 자전거 보관에 용이한 기어비입니다.
체인이 앞/뒤 모두 가장 작은 톱니바퀴에 걸리니 구동계의 장력을 최소할 수
있으니까요. 결론적으로 피해야 하고 권장하는 기어비는 정해진 것은 아니고
체인라인이 곧은 (체인링, 체인, 스프라켓이 일자로 배치되는) 기어비가
좋고 많이 틀어질 수록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암튼 참고 해 보시라 올려봅니다 .
* 참고로 위는 MS 엑셀을 이용한 표입니다. ^^